본문으로 이동

하재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명 하재세(河在世)
군주 대한제국 태황제(1897~1907)
대한제국 효황제(1907~1910)

이름
별명 초휘 염세(廉世)
자 태원(泰元)
호 무명(無名)
신상정보
출생일 1885년 8월 26일
사망일 1944년 1월 28일
사망지 사천조동
국적 조선 조선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력 학구(學究)
본관 진양
부모 하장수(河長水)
모 김백림(金伯林)
배우자 밀양박씨連順
직업 유학자, 교육인
종교 유교(성리학)

하재세(河在世, Ha Jaese 1885년 8월 26일 ~ 1944년 1월 28일)는 진양하씨 사천조동 문중 제11대 종손으로 대한제국유학자이자 교육자, 사회운동가로 본관은 진양(晉陽), 초휘는 염세(廉世), 호는 무명(無名), 자는 태원(泰元)이다. 아버지는 유학자 하장수이며 출계부는 하천수이다. 조부는 유학자 하재흥(河再興)이며, 증조부는 유학자 하용우(河龍佑) 선생이다.

생애

[편집]

하재세 선생은 사천조동의 명망있는 유학자 가문의 출신이나 조부와 부친의 지도 아래 7세부터 본격적으로 유학을 배우기 시작하여 성년에 이르자 모든 경서(經書)에 통달했다. 그는 격동기 한말을 거치며 일제강점기의 폭압과 강요 속에서도 지역 유림의 지도자의 한 사람으로서 갖은 고초를 당했다. 끝까지 창씨 개명과 부일 협력을 거부하다가, 끝내 59세의 나이로 유명을 달리했다. 그는 세상을 떠나는 순간까지 일제식민지 근대교육을 거부했으며 유교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학자전통교육 현장학구(學究)로서의 교육자의 자세를 끝까지 견지했다.

일설에는 하재세 선생이 1940년 8월 10일 창씨개명 신고일 마지막 날을 넘겨 일제에 의해 괴롭힘을 견디다 못해 창씨개명으로 신고한 천황폐하진양하(天皇陛下晉陽河) 사건의 당사자로 추정된다고 한다.[1] 한편, 하재세 선생의 독립운동과 관련해서는 당시 사천조동 문중에서는 하재세 선생이 독자로서 장손의 책무 때문에 직접적으로 독립운동의 현장에 투신하지는 않았으나, 평소 그가 유교 교육 현장에서 일경과 그들 앞잡이의 눈을 피해가며, 국권회복을 역설하고 특히 독립자금을 비밀리에 지원하였다고 한다.[2]

가계

[편집]
직계선조인 하연 선생
  • 부 : 하장수(河長水, 유학자, 서예가, 사회운동가)
    출계부 : 하천수(河千水, 유학자)
  • 모 : 김해김씨백림(金海金氏伯林)
    출계모 : 동성이씨
    • 배우자 : 밀양박씨연순(密陽朴氏連順)
      • 자 : 하치호(河致鎬, 전 군인)
        -대한민국 인헌무공훈장
        -대한민국 화랑무공훈장
        -월남 엽성무공훈장 수훈
      • 자부 : 강숙순(姜淑順, 일명 姜淑姬)
        • 장손 : 하홍술(河洪述)
          -대한민국 인헌무공훈장
          -월남 엽성무공훈장 수훈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수영구지회) 자문위원
        • 차손 : 하홍순(河洪順)
          -前 민주노동당 부산시당 대의원
        • 손녀 : 하미숙(무니)
          -한국상화연 대표(사회체육지도자)
        • 삼손 : 하승무(河承武, 역사신학자, 시인)
          -대한민국 국회의장 공로장(2024년)[3][4][5][6][7][8][9][10]
          -제10회 자랑스런 대한국민대상(2020년)[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부산지부 유공표창(2020년)[26][27]
          -제34회 자랑스러운 부산시민상(2018년)[28][29][30][31][32][33][34][35][36]
          -2018 한국신학교육자상[37][38][39][40]
          -제14회 병역명문가 병무청장 표창(2017년)[41][42][43][44]
          -제14회 병역명문가 가문 선정(2017년)[45][46][47][48][49]
          -외교부 재외동포재단 금상(2006년)
          -전국포럼연합 21세기분당포럼 공로패(2006년)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우회 공로패(1997년)
          -부산크리스찬문학가협회 최우수작품상(1995년)[50]
          -제3회 한겨레문학 신인상(1994년)[51][52]
          -육군두루미교회 공로감사패(1987년)
          -제1방공포병여단 여단장상(2회 1985,86년)
          -제1방공포병여단 제133대대장상(2회 1985,86년)
          -前 통일부 전문위원[53]
          -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前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직계 선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晉陽河氏大同譜(庚子譜,1900년)
  • 晉陽河氏大同譜(甲寅譜,1914년)
  • 晉陽河氏大同譜(丁巳譜,1917년)
  • 晉陽河氏大同譜(甲子譜,1924년)
  • 晉陽河氏大同譜(戊辰譜,1928년)
  • 晉陽河氏大同譜(壬辰譜,1952년)
  • 晉陽河氏大同譜(乙未譜,1955년)
  • 晉陽河氏大同譜(丁酉譜,1957년)
  • 晉陽河氏大同譜(庚子譜,1960년)
  • 晉陽河氏大同譜(乙酉譜,1969년)
  • 晉陽河氏大同譜(甲子譜,1984년)
  • 晉陽河氏大同譜(庚辰譜,2000년, 인제대학교 족보도서관)
  • 하승무의 '晉陽河氏家門 人物硏究'(2015년)

각주

[편집]
  1. 진양하씨 사천조동 문중 종가의 평소 구전 증언(하재세 선생의 처인 박연순 여사와 장손 하치호)에 의하면 하재세 선생이 창씨개명 신고를 마감날까지 하지 않아, 일경과 면사무소 직원이 집으로 찾아와 난리가 일으킨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후 하재세 선생은 갖은 괴롭힘과 고초를 당하자, 창씨개명 신고를 했는데 얼마후 면주재소에서 '진양하씨마을 사천조동문중 하재세는 창씨개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연락을 받았다'는 것이다. 또한 이 사건과 관련해서 그 누구도 입밖으로 소문을 내면 감옥살이를 하게 될 것이라고 협박을 받았다고 한다. 그의 직계 후손들은 당시 사건의 자세한 내막을 알수는 없으나, 정황상 '천황폐하진양하 사건(天皇陛下晉陽河 事件)'의 당사자가 선조인 하재세 선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 河承武의 晉陽河氏 家門人物硏究 하제세 편(2015)
  3. 고신대 동문뉴스. 202년 04월 22일[1]
  4. 베리타스알파. 202년 04월 23일[2]
  5. 더코리아. 202년 04월 23일[3]
  6. CRSNews. 202년 05월 11일[4]
  7. K채널. 202년 04월 23일[5]
  8. 톡톡뉴스. 202년 04월 23일[6]
  9. 무등일보. 202년 04월 23일[7]
  10. 전남매일. 202년 04월 23일[8]
  11. 아시아경제. 2020년 11월 26일[9]
  12. 한국대학신문. 11월 26일[10]
  13. 위키트리 11월 26[11]
  14. 전남일보. 11월 26일[12]
  15. 광주매일신문. 11월 26일[13]
  16. 뉴스핌. 11월 26일[14]
  17. 남도일보. 11월 26일[15]
  18. 국제뉴스. 2020년 11월 25일[16]
  19. 열린통신뉴스. 2020년 11월 26일[17]
  20. 잡포스트. 2020년 11월 25일[18]
  21. 시사매거진. 11월 25일[19]
  22. 앤디앤뉴스. 2020년 11월 24일[20]
  23. 미디어리퍼블릭, 2020년 11월 25일[21]
  24. 교육신문[22]
  25. 하승무 동문 제10회 '자랑스런대한국민大賞'에 선정 [23]
  26. 하승무 교수 무공수훈자회 유공표창 받아, 경북하나굿뉴스[24]
  27. 매일종교신문. 2020년 3월 19일[25]
  28. 2018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부산광역시청[26]
  29. 고신대학교 선교목회대학원 하승무 동문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에 선정[27]
  30. 국제신문. 2018년 10월 4일[28]
  31. 톡톡뉴스. 2018년 9월 18일[29]
  32. 매일종교신문. 2018 9월 17일[30]
  33. 부산시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 수상자 선정,공정뉴스[31]
  34. 하승무 동문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에 선정 [32]
  35. 고신대 하승무 동문,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에 선정,코람데오닷컴[33]
  36. 자랑스런부산시민상 선정, 노컷뉴스[34]
  37. ‘한국신학교육자상에 하승무 시인’. 연합뉴스. 2018년 1월 18
  38. 종교매일신문. 2018년 1월 18일[35]
  39. 한겨레신문. 2018년 1월 18일[36]
  40. 매일경제신문[37] Archived 2021년 9월 25일 - 웨이백 머신
  41. 국제신문. 2017년 9월 13일[38]
  42. 브릿지경제. 2017년 10 12일[39]
  43. 국제뉴스. 2017년 10월 12일[40]
  44. 코나스뉴스. 2017년 9월 6일[41]
  45. 국제신문. 2017년 9월 13일[42]
  46. 국제뉴스. 2017년 10월 12일[43]
  47. 브릿지경제. 2017년 10 12일[44]
  48. 서울신문. 2017년 9월 7일[45]
  49. 코나스뉴스. 2017년 9월 6일[46]
  50. 기독교선교신문. 1995년 5월 1일
  51. 부산일보. 1994년 6월 3일
  52. 교회복음신문. 1994년 6월 6일
  53. 브릿지경제[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