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키예프 루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스국
Рѹ́сьскаѧ землѧ

882년~1240년
문장
문장
수도키예프 북위 50° 27′ 00″ 동경 30° 31′ 24″ / 북위 50.4500° 동경 30.523333°  / 50.4500; 30.523333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공작 / 대공
882년 ~ 912년
914년 ~ 945년
945년 ~ 963년
963년 ~ 972년
980년 ~ 1015년
1016년 ~ 1054년
1113년 ~ 1125년
1236년 ~ 1240년

올레크 베시(초대)
이고리 류리코비치
올가
스뱌토슬라프 1세
블라디미르 1세
야로슬라프 1세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미하일 프세볼로도비치(말대)
왕조류리코비치
입법부베체
역사
 • 건국882년
 • 정교회의 국교화988년
지리
위치동유럽
면적1,330,000 km2
인문
공통어고대 동슬라브어
데모님루스인
민족
인구
1000년 어림5,400,000명[1]
경제
통화그리브나
종교
국교동방 정교회(988년 이후)
기타 종교슬라브 이교
노르드 이교
우랄 이교
기타
현재 국가러시아의 기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이전 국가
다음 국가
노브고로드 루스
폴라츠크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
페레야슬라우 공국
스몰렌스크 대공국
랴잔 대공국
키예프 공국
노브고로드 공화국
블라디미르 대공국
트베리 대공국
갈리치아-볼히니아

루스국(고대 동슬라브어: Рѹ́сьскаѧ землѧ 루스카야 제믈랴), 또는 키예프 루스(러시아어: Ки́евская Русь 키옙스카야 루시[*], 우크라이나어: Київська Русь 키이우스카 루시[*], 벨라루스어: Кіеўская Русь 키예우스카야 루시)는 882년부터 1240년까지 오늘날 동유럽 지역의 키이우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 일대에 존재했던 루스인들의 국가이다.

역사

[편집]

초기(882년 ~ 964년)

[편집]

키예프 루스의 전신은 루스 카간국의 마지막 카간이자 류리크 왕조의 시조인 류리크가 862년에 오늘날 노브고로드에 건설한 공국인 노브고로드 루스로, 원초 연대기에 의하면 추드인, 드레블랴네인, 메레인, 벱스인, 크리비치인들이 루스인들을 내쫓고 스스로 통치하려 하였으나 그 후 부족들이 서로 싸우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질서를 잡기 위해 다시 루스인들을 부르게 되었고 루스인들의 수장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에 정착하게 되면서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후 류리크의 후계자인 올레크 베시드니프르강 유역이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노브고로드 공령의 수도를 노브고로드에서 키이우로 옮김으로서 키예프 루스가 형성되었다. 그후 올레크 베시는 키이우와 인근에 있던 여러 동슬라브족들의 영토를 정복해 나가면서 세력을 확장했고 동로마 제국 원정에 직접 나서기도 했으며, 907년에는 동로마 제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였다. 912년 올레크 베시가 사망하자 류리크의 아들이자 키예프의 올가의 남편인 이고리 류리코비치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였다.

이고리 류리코비치는 올레크 베시의 동로마 제국 원정을 이어받아 941년부터 944년까지 동로마 제국 원정에 나섰으며 945년에는 동로마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지만 조약을 체결하고 돌아오던 도중에 키예프 루스의 과도한 세금 납부 정책에 반감을 가졌던 드레블랴네인들에 의해 살해당했다. 당시 이고리 류리코비치의 아들인 스뱌토슬라프 1세는 너무 어렸기 때문에 이고리 류리코비치의 아내인 올가가 대신하여 키예프 대공국을 섭정 통치하였다. 올가는 남편인 이고리 류리코비치를 살해한 드레블랴네인들을 응징하였으며, 957년에 정교회로 개종하여 루스 지역의 첫번째 정교회 신자가 되었다.

중기(964년 ~ 1054년)

[편집]

성년이 된 스뱌토슬라프 1세는 키예프 루스를 본격적으로 통치하기 시작하였다. 스뱌토슬라프 1세는 965년부터 군사 원정에 나서기 시작했는데, 우선 볼가강 유역에 거주하던 유목민인 볼가 불가르를 복속시켜 볼가 일대의 무역로를 장악하였고, 하자르 카간국을 공격하여 세력을 크게 약화시켰으며, 발칸반도불가리아 제1제국을 공격하는 등 키예프 루스의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972년에 스뱌토슬라프 1세가 불가리아 원정 도중에 사망하자 야로폴크 1세가 그 뒤를 이었지만, 980년에 블라디미르 1세의 반란에 의해 야로폴크 1세는 살해되었다.

그 후 정권을 장악한 블라디미르 1세는 키예프 루스의 국경 지대에 있던 동슬라브족발트족, 핀족 등의 여러 부족을 정벌하였다. 동시기에 동로마 제국의 황제인 바실리오스 2세가 군대의 반란으로 위기에 처하면서 키예프 루스에 지원을 요청하자 블라디미르 1세는 바실리오스 2세의 여동생인 안나와 결혼하는 조건을 내걸었고, 바실리오스 2세가 이를 수락하자 블라디미르 1세는 바실리오스 2세에게 훗날 바랑기아 친위대의 전신이 되는 약 6천 명의 바랑기아인 용병들을 보내주었으며, 블라디미르 1세는 약속대로 동로마 제국의 바실리오스 2세 황제의 여동생인 안나와 결혼하였다. 이후 안나의 영향으로 정교회로 개종한 블라디미르 1세는 989년에 정교회를 키예프 루스의 국교로 선언하면서 동로마 제국의 선진 문물들을 수용하였으며, 동시에 손녀들을 프랑스 왕국, 헝가리 왕국, 노르웨이 왕국의 왕들에게 시집보내는 등 서유럽 국가들과도 많은 관계를 유지하였다.[2]

블라디미르 1세 사후에는 야로폴크 1세의 아들인 스뱌토폴크 1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스뱌토폴크 1세는 블라디미르 1세가 정교회를 국교로 선언한 이후 정교회를 믿던 거의 대부분의 루스인들과 달리 로마 가톨릭을 믿던 폴란드 왕국 출신의 아내를 둔 영향으로 정교회가 아닌 로마 가톨릭을 믿고 있었으며, 자신의 권력을 확고히 하기 위해 자신의 동생들인 보리스와 글렙을 살해하였다. 이로 인해 스뱌토폴크 1세는 민심을 잃었고, 결국 스뱌토폴크 1세는 1018년 바랑기아인 용병을 주축으로 반란군을 일으킨 야로슬라프 1세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한 야로슬라프 1세는 키예프 루스의 최전성기를 이끌었는데, 그는 키예프 루스의 국력을 향상시켰으며, 동슬라브인들의 관습법들을 정리하여 만든 동슬라브족 최초의 성문법전인 《루스카야 프라우다》를 편찬하였다. 또한 야로슬라프 1세는 키이우에 대규모의 정교회 성당인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을 건립하는 등 건축 방면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후기(1054년 ~ 1240년)

[편집]

야로슬라프 1세가 죽은 후 1095년에 십자군 전쟁이 일어나 베네치아 공화국을 통한 중개 무역이 활성화되고 볼가강을 통한 중개 무역이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키예프 루스 또한 쇠퇴하기 시작해 반세기도 지나지 않아 류리크 왕조의 분할상속제에 의해 여러 군소 공국으로 분열되기 시작하였으며, 1095년에는 흑해의 유목민족인 쿠만족의 침략으로 인해 수도인 키예프가 약탈당했다.[2] 1113년에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한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블라디미르 등의 신도시를 건설하는 등 내치를 안정시키는 한편, 키예프 루스를 위협하던 쿠만인을 정벌하는 등 군사 활동에도 힘을 쏟으면서 키예프 루스는 잠시나마 중흥기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사후 키예프 루스는 다시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12세기 중반에 이르면서 키예프 루스는 노브고로드 공화국, 폴라츠크 공국, 블라디미르 대공국, 랴잔 대공국, 갈리치아-볼히니아, 스몰렌스크 대공국, 페레야슬라우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 등의 류리크 왕조 출신의 제후들이 다스리는 여러 공국들로 분열되어 난립하면서 사실상 이름만 남은 상태가 되며 1237년부터는 킵차크 칸국의 침공이 시작되면서 노브고로드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루스 공국들이 킵차크 칸국에 점령되었으며, 결국 1240년에 수도인 키이우가 함락되면서 키예프 루스는 멸망하였다.

사회와 경제

[편집]

루스족들은 기독교가 사회에서 강대한 힘을 갖기 이전까지 슬라브족들한테 가혹한 지배를 강요했으며 슬라브족은 사소한 이유로도 노예로 전락할 수 있었다.[3] 그리고 루스족과 가까운 게르만 동족은 슬라브족한테 끔찍한 짓을 해도 가벼운 처벌을 받았던 시절이 있었다.[4] 전근대 이전부터 초기 루스 사회와 국가는 슬라브 노예를 기반으로 건설되었다고 기록되기도 했다.

스뱌토슬라프 1세흑해스칸디나비아반도를 연결하는 강인 볼가강을 장악한 후에 키예프 루스는 볼가강을 통한 중개 무역으로 번성하였는데, 주변 교역국들인 동로마 제국, 스칸디나비아반도, 이슬람 제국밀랍, , 모피, , 귀금속, 무기, 갑옷, 노예 등을 수출하고 이들 국가로부터 각종 동전들을 수입하는 방식의 중개 무역을 통해 많은 부를 창출하였으며, 이 중개 무역을 주도하는 상인들의 사회적 지위는 자연스레 상승하게 되었다. 흑해와 가까운 키이우스칸디나비아반도와 가까운 노브고로드는 이러한 중개 무역의 중심지였다. 러시아에 진출한 바이킹이나 루스족 지배자들은 슬라브족 노예를 수출하였으며 슬라브족 노예는 그들의 경제를 번영하게 했던 주요 수출품이었다.[5][6][7][8] 나중에는 루스족의 호의를 얻은 슬라브족 지도층도 루스족과 함께 슬라브족을 노예로 팔았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Б.Ц.Урланис. Рост населения в Европе (PDF) (러시아어). 89쪽. 
  2. 지오프리 파커 (2004). 《아틀라스 세계사》 2판. 사계절. 64쪽. 
  3. translator., Vernadsky, George, 1887-1973, (1979). 《Medieval Russian laws》. Octagon Books. ISBN 0-374-98075-6. 
  4. Hellie, Richard. 《Slavery and Serfdom in Russia》. Oxford, UK: Wiley-Blackwell. 105–120쪽. 
  5.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1040-1118)》. Duke University Press. 2010. 66–69쪽. 
  6. Jacqueline., Simpson, (1987). 《Everyday life in the Viking age》. Dorset Press. 
  7. G., Moss, Walter (2005). 《A history of Russia.》. Anthem. ISBN 978-0-85728-752-6. 
  8. 1925-, Dmytryshyn, Basil, (1973). 《Medieval Russia : a source book 900-1700》. Dryden Press.